- HOME
- 자료실
- 제작지원작품
에스제이엠문화재단은 제작, 학술&행사 지원과
관련한 소중한 자료들을 공유합니다.
<<아버지 없는 삶 - 감독 김응수>>-2009년도 제작지원작
2015.06.18작성자 | 관리자
첨부파일 |
![]()
|
아버지 없는 삶 Without Father
| |||
제목 감독 러닝타임
관련기사 및 정보
| 아버지 없는 삶 김응수 80분
|
제작지원내용
2009년 SJM문화재단 제작 지원
감독에 대하여
감독 김응수
2006년 극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탐험하는 <천상고원>을 만들며 영화의 양방향과 경계 허물기를 추구하였다.
<과거는 낯선 나라다>(2008, 다큐멘터리), <물의 기원>(2010, 극영화), <아버지 없는 삶>(2012, 다큐멘터리) 등은 그런 탐험의 결과물이다.
Filmography
<물속의 도시> (2014), <아버지 없는 삶> (2012)
Awards & History
2013년 제13회 인디다큐페스티발 초청개막작, 올해의 초점
2012년 제38회 서울독립영화제 장편초청
2012년 제13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관객평론가상 수상
줄거리
이 영화에는 두 개의 길이 있다. 하나는 1945년, 한국의 최북단 나남(함흥, 청진)에서 출발하여 서울, 부산, 현해탄을 건너 후쿠오카, 히로시마, 교토, 일본 본토의 최북단 아오모리를 가는 요코의 여정이며, 하나는 2010년, 한국의 중앙 충주를 출발하여 대전, 부산, 현해탄을 건너 후쿠오카, 나가사키, 일본의 최남단 섬 고토를 가는 야마시다 마사코의 여정이다. 두 개의 여정은 한 길을 가다 현해탄을 건너 후쿠오카에서 갈린다. 북으로 가는 요코의 여행은 히로시마, 교토, 도쿄 등 일본의 중심을 향하는 여행이며, 남으로 가는 야마시다 마사코의 여행은 변방 규슈를 통과하여 더 변방, 남단 섬으로 가는 원심적 여행이다. 두 일본 여인은 각자의 이유로, 반세기의 시차를 두고 한국에 살았고 모두 자신의 조국, 그리고 생물학적 아버지를 찾아간다. 그리고 이들을 따라가는 분열적인 한국인 화자가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 묻는다. 그러니까 총 세 개의 길이 있다. (2012년 제38회 서울독립영화제)
촬영 비하인드 스토리
만약 이 영화의 주인공인 야마시다 마사코 씨가 슬픈 사람이었다면, 그녀와 같이 일본 여행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는 그녀의 밝은 모습 속에서, 우리가 우리 자신에 대하여 느끼는 슬픔을 역으로 치유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우리의 여행은 즐거움으로 가득 찼고, 허물없이 친해졌다. 그러나 국가라는 보이지 않는 거리는 항상 존재했다. 우리는 양국에서 너무 많이 다룬 문제, 내가 상대를 보는 것에서 벗어나, 상대를 통하여 나를 보는 문제에 집중했다. 그러나 이것이 과거를 무로 돌리는 우아한 말장난, 소위 ‘균형적 시각’을 말하는 것은 아니었다. 내가 확실히 그녀에게 말했고 그녀도 받아들였던 말, “마사코 선생님, 제가 그렇다고 일본의 침략 행위를 절대 묵인하는 사람은 아닙니다. 오해하지 마세요. 그리고 거기에 동조한 한국인을,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감싸는 사람도 아닙니다.”라는 그 말을 서로가 잊지는 않았다. 우리는 그녀를 존중했고, 그녀는 우리를 배려했다. 우리는 서로 자신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고, 서로 자국의 친구로부터도 느끼지 못하는 인간의 보편적 고통, 슬픔, 우정에 대해서도 공감했지만, 결국 또 국가라는 괴물을 건너뛰지는 못했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에 국가는 적대적이고, 서로 적대적이어야 국민을 통치하고, 그러면서도 자기들끼리는 내통하기 때문에, 조선과 한국 정부가 지금까지 일본과 해 온 짓을 보라, 야합을 서슴지 않았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개인적인 친구를 만들지 않으면, 평화를 사랑하는 민간의 흐름을 서로 만들지 않으면, 다시 국가에 의해 서로가 죽고 죽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점은 이 영화가 서양에 의한 시선, 오리엔탈리즘이라는 것에 대해 강한 거부감, 중심에 대한 거부를 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모든 논리보다 중요한 것은 관찰자적 비평적 삶이 아니라, 개척이라는 삶의 태도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비평은 자신의 고정된 시각으로 세상을 다 이해하려고 하지만 결국 그 자리에 있고, 개척은 시시각각 새로운 시선으로 세상을 보며 보석처럼 빛나는 친구를 만난다.
- 이전글 | <<그라운드의 이방인 - 감독 김명준>>-2010년도 제작지원작 2015.06.18
- 다음글 |
